어떤 사건이 부당하고 억울하다고 느끼는 감정에 사로잡혀 삶에 영향을 받고 계신가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는 또 다른 외상 후 울분 / 격분 장애(PTE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외상 후 울분장애 정의와 원인
심리적 메커니즘 및 증상 특징
치료 및 극복 방법
외상 후 울분장애 정의와 원인
PTED(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는 외상 후 울분장애 또는 외상 후 격분장애라고 불리며 자신에게 불공정하다고 느껴지거나 부당한 사건 발생 후 극심한 분노와 억울함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며 이로 인해 개인의 삶과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심리상태입니다.
불안과 공포가 주된 증상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다르게 외상 후 울분 / 격분 장애(PTED)는 주로 분노와 억울함을 중심으로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도 자연스럽게 해소되지 않는 특징을 보입니다.
PTED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외부 환경에서 발생한 불공정 혹은 부당한 사건은 핵심 유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에는 부당한 대우, 사회 구조적 문제, 소송 및 갈등, 배신 및 상실 등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 개인의 심리적 성향과 대처능력 등의 내부적 요인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트레스 대처 능력 부족, 높은 기대치 및 완벽주의, 자아 존중감 결핍, 피해의식, 민감한 성격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외상 경험의 특성이 중요합니다. 예상하지 못했던 사건 발생, 통제감 상실, 불공정성의 인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메커니즘 및 증상 특징
PTED가 발생하는 특정 심리적 메커니즘을 살펴보겠습니다.
- 루미네이션(Rumination) : 과거 사건을 끊임없이 떠올리며 부정적인 감정을 재강화 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며 사건에 대한 억울함과 울분이 더욱 심화됩니다.
- 귀인편향(Attribution Bias) : 자기 책임감을 배제하는 사고 패턴으로 자신의 실패 혹은 손실을 모두 외부 요인 탓으로 돌립니다. '왜 나에게만 이런 부당한 일이 생기는가?'와 같은 생각이 지속됩니다.
- 자기 효능감 감소 :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다고 느껴 절망감과 무력감이 깊어집니다.
- 부정적 정서의 일반화 : 특정 사건으로 시작된 울분과 분노의 감정에 국한되지 않고 점점 다른 분야로 확대되어 결국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PTED의 증상과 그에 따른 특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서적 증상
- 외상사건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 지속적인 분노와 억울함을 느낍니다. 특정 사건이나 사람에 대한 울분이 사라지지 않고 시간이 지나도 계속될 수 있습니다.
- 사건의 부당함에 대해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기력감을 느낍니다.
- 부정적 감정이 점차 확대되어 전반적인 삶에 대한 불만과 비관적 태도를 보입니다. 더 나아가 타인 및 사회를 적대적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 가해자라 여겨지는 대상에게 복수심과 원한을 품습니다. 복수가 실현되지 않는 경우 분노가 더 강해집니다.
- 울분과 분노가 장기화되며 우울감 및 절망감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행동적 증상
- 정서적 어려움이 다음과 같은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 타인과의 관계를 단절하거나 회피합니다. 자신이 주변 사람들에게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껴 점점 사회적으로 고립된 모습을 보입니다.
- 다른 사람과의 갈등이 잦아지고, 언어적 또는 신체적으로 공격적 반응을 보입니다.
- 부당함을 바로잡기 위해 극단적인 복수 계획을 세우거나 실행하려 합니다.
- 사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끊임없이 이야기하거나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등 외상 사건에 대해 강박적으로 집착하고 다른 활동에 집중하지 못합니다.
인지적 증상
- 사건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사고패턴이 반복됩니다.
- 과거 부당한 사건을 계속해서 떠올리며 부정적 감정을 강화합니다.
- '모든 일은 나를 힘들게 하기 위해 일어난다.'와 같은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합니다. 이는 자신의 행동이나 선택은 고려하지 않은 채 사건의 원인을 외부로만 돌리며 발생합니다.
- 세상은 불공정하며 자신이 피해자라는 인식에 사로잡혀 다른 관점이나 해결방법을 수용하지 않은 채 사건의 특정 측면에만 집중하는 등 편협한 사고가 이루어집니다.
- 스스로를 실패자 또는 약자라고 인식하고 자기 비난을 강화하는 부정적인 자기평가가 심화됩니다.
신체적 증상
- 부정적인 감정 및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신체 증상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 만성적인 피로감으로 에너지 저하, 신체 무기력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외상 사건에 대한 생각으로 수면 질이 떨어지거나 수면장애가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잠에서 자주 깨거나, 불면, 악몽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 소화불량, 두통, 근육 긴장, 관절통 등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납니다.
- 누적된 분노 및 스트레스로 인해 심박수 증가, 혈압 상승 등의 심혈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및 극복 방법
PTED 치료는 외상 경험에서 비롯된 강한 분노 및 울분을 완화하고 이를 건강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데 중점을 둡니다.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 부정적인 사고와 감정을 인식하고 수정하여 건강한 사고방식을 회복하는 방법입니다.
- 분노를 유발하는 특정 계기(Trigger)를 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학습합니다.
- 부정적 사고 패턴과 왜곡된 믿음을 인식하고 긍정적인 사고로 대처하는 훈련을 반복합니다.
수용전념치료 / 수용헌신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 분노, 울분 등의 부정적 감정을 무조건 억누르지 않고 수용하며 삶의 가치에 집중하는 방법입니다.
- 현재 감정과 생각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훈련이 이루어집니다.
- 현재의 삶에 중요한 개인적인 가치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행동 변화를 유도합니다.
트라우마 초점 치료(Trauma-Focused Therapy, TF-ACT)
- 외상 사건에 의한 심리적 상처를 치료하고 울분을 완화합니다.
- 노출요법을 통해 안전한 환경에서 과거 사건을 떠올리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유도합니다.
- 외상 사건과 관련된 부정적 기억을 재구성합니다.
감정조절훈련(Emotional Regulation Training, ERT)
- 분노와 울분을 조절하고 건강하게 표현하는 기술을 학습합니다.
- 감정일기를 작성하고 상황 분석을 연습합니다.
- 마음 챙김, 명상, 심호흡 훈련이 포함됩니다.
약물치료
항우울제(Antidepressants)
- 우울감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가 쓰입니다.
- 플루옥세틴(Fluoxetine), 파록세틴(Paroxetine), 설트랄린(Sertraline), 에스시탈로프람(Escitalopram) 등이 있습니다.
항불안제(Anxiolytics)
- 불안, 초조감을 줄이기 위한 약물입니다.
- 로라제팜(Lorazepam, 알프라졸람(Alprazolam) 등이 있습니다.
수면제(Hypnotics)
- 수면장애 완화를 위해 쓰입니다.
- 졸피뎀(Zolpidem), 트리아졸람(Triazolam) 등이 있습니다.
기분안정제(Mood Stabilizers)
- 충동적 행동과 폭발적인 분노를 조절하는데 쓰입니다.
-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발프로산(Valproate) 등이 있습니다.
사회적 지원 및 생활습관 개선
- 가족 또는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 울분과 분노를 안전하게 표출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을 마련합니다. 이때에는 조언보다 공감과 경청이 중요합니다.
-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여 단절된 관계를 복원하거나 긍정적인 사회연결을 경험합니다.
- 비슷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지원그룹에 참여하여 위로와 치유를 받습니다.
- 규칙적인 운동, 마음챙김 등으로 스트레스를 줄이고 정서적 안정을 취합니다.
- 적절한 수면과 식습관으로 건강한 일상을 유지합니다.
- 취미 및 여가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감정 경험을 유도합니다.
글을 마치며
PTED는 단순한 불쾌감이 아니라 전반적인 삶을 마비시킬 정도로 강렬한 울분과 정서적 고통을 수반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어렵다고 느끼며 무기력에 빠지기 쉽기 때문에 주변 도움을 통한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를 권장합니다. 꾸준한 관리로 몸도 마음도 조금 더 건강해질 내일을 응원합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의 몸과 마음이 모두 평안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2024.03.20 - [마음 감기] - [PTSD] - 시도 때도 없이 그때 그 시간으로 돌아가는 악몽이 되풀이 돼요.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원인 증상 진단 치료
[PTSD] - 시도 때도 없이 그때 그 시간으로 돌아가는 악몽이 되풀이 돼요.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누구나 감당하기 힘든 일을 겪고 나면 한동안 충격으로 힘들어합니다. 그러나 충분한 시간이 지나도 안정을 찾지 못하고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면 한 번쯤은 의심해 봐야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
2024.03.30 - [마음 감기] - [분노조절장애] 화나는 정도가 아니라 나를 통제할 수 없어요. -간헐적폭발성장애 분조장 원인 증상 자가진단 테스트 치료 예후 PTED차이
[분노조절장애] 화나는 정도가 아니라 나를 통제할 수 없어요. -간헐적폭발성장애 분조장 원인
순간적인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서 나를 잃어버릴 것 같은 기분을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부적절한 분노 표출로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받는 간헐적 폭발성 장애/분노조절장애(Intermittent Explosive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
'마음 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쾌감증] 삶이 공허하고 의미 없어요, 즐거움을 못 찾겠어요. - 무욕증 정의 원인 유형 증상 특징 치료 약 극복 방법 (0) | 2024.11.24 |
---|---|
[PTSD VS PTED] 외상 후 심리 장애 전격 비교 (0) | 2024.11.23 |
[감정표현 불능증] 내 감정, 마음을 이야기하기 어려워요. - 정의 용어 원인 증상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치료 회복 방법 (0) | 2024.11.11 |
[천둥번개공포증] 천둥 번개가 무서워요. - 천둥공포 번개공포 특정공포증 정의 원인 증상 특징 치료 극복 방법 (0) | 2024.07.23 |
[빈그릇증후군] 뭐든지 끝까지 싹싹 긁어 먹어요. - 그릇비우기증후군 정의 원인 증상 주요 특징 자가진단 테스트 치료 극복 방법 (0)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