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한 사건 이후 분노, 울분, 스트레스, 공포, 무기력으로 고통받고 계신가요? 대표적인 외상 후 심리장애인 PTSD와 새롭게 인지되고 있는 PTED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목차
정의와 원인 비교
진단 및 증상과 특징 비교
치료방법 및 주요 차이점 요약 비교
정의와 원인 비교
과거 특정한 사건을 경험한 후 지속되는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외상 후 격분 / 울분 장애(PTED)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각의 정의, 주요 감정과 초점, 유발 원인, 사건 특징, 외상 강도에 대한 차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PTSD | PTED | |
정의 | 외상 사건 이후 지속적인 재경험, 감정 둔마, 과각성 상태를 반복해서 경험하는 장애 | 부당 또는 불공평한 사건으로 인해 강한 울분 및 분노를 경험하는 상태 |
주요 감정 |
공포(Fear) 무기력(Helplessness) |
울분(Resentment) 분노(Anger) |
주요 초점 |
심리적 트라우마 신체적 반응 |
억울함과 분노 |
유발 원인 |
생명의 위협을 느낄정도의 충격적 사건 (자연재해, 전쟁, 폭행, 사고 등) | 부당한 대우, 불공평한 사건(배신, 해고, 인격모독 등) |
사건 특징 |
- 외부적 사건 - 급작스럽고 통제 불가능한 사건 |
- 개인적 사건 - 지속적으로 부당하다 느껴지는 사건 |
외상 강도 |
생명 위협에 관련된 심각한 외상 | 생명 위협은 없으나 강렬한 부정적 감정을 느끼는 사건 |
진단 및 증상과 특징 비교
PTSD와 PTED의 진단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PTSD | PTED | |
진단 기준 |
DSM-5에 따라 명확히 정의된 장애 | 현재까지 DSM-5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관심있게 다루어짐 |
진단 초점 |
- 생명 위협과 관련된 외상 사건 - 이에 대한 심리적, 신체적 반응 |
- 사건의 부당성 - 지속되는 울분, 부정적 정서 |
발병 시점 |
사건 발생 후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증상 | 사건 이후 몇주 또는 몇달 이내 발생 |
PTSD와 PTED 주요 증상과 그에 따른 특징을 각 5가지로 나누어 비교해 보겠습니다.
PTSD 증상(DSM-5)
1. 재경험(Intrusion)
외상 사건에 대한 생생한 회상(플래시백), 악몽, 강박적 기억을 경험합니다.
2. 회피(Avoidance)
외상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사람이나 장소 또는 상황을 회피하려 합니다.
3. 과각성(Hyperarousal)
쉽게 놀라거나 과도하게 경계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수면장애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4. 정서적 둔마(Emotional Numbing)
감정을 느끼는 능력이 저하되고 우울감을 경험합니다.
5. 부정적 인지 변화(Negative Cognition Changes)
자기 비난, 죄책감, 세상에 대한 부정적 관점을 갖습니다.
PTED 증상
1. 강한 분노와 울분(Intense Resentment)
사건에 대한 억울함과 부당한 느낌이 지속됩니다.
2. 사고의 집착(Ruminative Thinking)
과거 사건에 반복적으로 집착하며 해소되지 않은 감정을 유지합니다.
3. 사회적 고립(Social Withdrawal)
사건 이후 타인과의 신뢰를 상실하거나 관계단절을 경험합니다.
4. 우울 및 불안(Depression and Anxiety)
사건의 결과로 자기 비난, 절망감이 심화됩니다.
5. 복수 심리(Desire for Revenge)
피해를 준 사람에 대한 복수 욕구 및 공격적 사고가 발생합니다.
치료방법 및 주요 차이점 요약 비교
PTSD와 PTED 모두 심리치료와 약물치료가 병행될 수 있으나 접근법의 차이가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PTSD | PTED | |
심리 치료 |
점진적 노출치료(PE) : 외상 사건을 점진적으로 떠올려 트라우마 극복 시도 | 인지행동치료(CBT) : 사건의 부당성 객관화, 감정을 인지하고 건강하게 해소 |
인지처리치료(CPT) : 왜곡된 사고패턴 교정 | 수용전념치료(ACT) : 울분을 수용, 보다 가치있는 목표 설정 | |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EMDR) : 외상기억 재처리 | 감정조절훈련(ERT) : 분노관리 기술 습득 | |
약물 치료 |
항우울제(SSRIs) | |
항불안제 | ||
프라조신(Prazosin) : 악몽증상 완화 | 기분 안정제 |
마지막으로 주요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요약하여 비교해 보겠습니다.
PTSD | PTED | |
주요 감정 |
공포 무기력 |
분노 울분 |
유발 사건 |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 | 부당 또는 불공평한 사건 |
증상 초점 |
외상 회피 감정 둔마 신체적 각성 |
부정적 사고 지속 분노 억울함 |
재경험 여부 |
플래시백 악몽 반복되는 외상사건 재경험 |
사건을 반복적으로 떠올려 부당성 고찰 |
치료 목적 |
외상 기억 재처리 심리적 안정 도모 |
울분 수용 건강한 감정처리 방식 학습 |
글을 마치며
PTSD와 PTED 모두 외상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는 심리상태이지만 증상으로 발현되는 감정적 초점과 치료 접근이 명확히 구분되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조금 더 건강해질 내일을 응원합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의 몸과 마음이 모두 평안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PTED] 그 일이 있고 나서 자꾸만 울컥 화가 나고 억울해요. - 외상 후 울분 격분 장애 정의 원인 메
어떤 사건이 부당하고 억울하다고 느끼는 감정에 사로잡혀 삶에 영향을 받고 계신가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는 또 다른 외상 후 울분 / 격분 장애(PTE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외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
2024.03.20 - [마음 감기] - [PTSD] - 시도 때도 없이 그때 그 시간으로 돌아가는 악몽이 되풀이 돼요.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원인 증상 진단 치료
[PTSD] - 시도 때도 없이 그때 그 시간으로 돌아가는 악몽이 되풀이 돼요.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누구나 감당하기 힘든 일을 겪고 나면 한동안 충격으로 힘들어합니다. 그러나 충분한 시간이 지나도 안정을 찾지 못하고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면 한 번쯤은 의심해 봐야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
2024.03.30 - [마음 감기] - [분노조절장애] 화나는 정도가 아니라 나를 통제할 수 없어요. -간헐적폭발성장애 분조장 원인 증상 자가진단 테스트 치료 예후 PTED차이
[분노조절장애] 화나는 정도가 아니라 나를 통제할 수 없어요. -간헐적폭발성장애 분조장 원인
순간적인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서 나를 잃어버릴 것 같은 기분을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부적절한 분노 표출로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받는 간헐적 폭발성 장애/분노조절장애(Intermittent Explosive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