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감기

[SFTS] 진드기에 물리면 사망할 수 있어요.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정의 원인 감염 전파 경로 고위험군 잠복기 증상 특징 치료 회복 치사율 예후

by CHRISY 2025. 4. 4.

  야외활동 시 진드기가 많은 봄과 가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할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FTS

 

 

 

목차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정의와 전파경로
증상 및 특징
치료 방법 및 예후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정의와 전파 경로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이란 진드기가 매개체가 되는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을 뜻합니다. 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에서 발생하며 감염된 동물 혈액에 접촉했을 경우 사람에게 옮을 수 있고, 환자의 체액 또는 혈액과 접촉 시 사람 간 감염 역시 가능합니다.

 

  감염경로 및 전파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드기 매개 감염
    • 바이러스를 보유한 진드기의 분비물, 체액, 타액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사람 또는 동물이 진드기에 물렸을 경우 감염되기 쉽습니다. 진드기가 많은 봄 가을에 발생률이 증가합니다.
  • 사람 간 전파
    • 감염자의 침, 땀, 분비물, 소변 등의 체액또는 혈액에 접촉할 경우 감염 가능합니다.
    • 의사, 간호사, 환자 보호자의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동물 감염
    • SFTS 바이러스(SFTSV)는 개, 고양이, 소, 염소 등의 다양한 포유류 역시 감염 가능합니다.
    • 감염된 동물에 접촉할 경우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 현재까지 공기 전파 사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감염되면 취약한 고위험군을 살펴보겠습니다.

  • 야외 활동이 많은 사람(군인, 등산객, 농부, 목축업자 등)
  • 동물과 접촉이 많은 사람(수의사, 애완동물 보호자)
  • 감염자의 혈액 및 체액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사람(의료진, 보호자)
  • 60세 이상의 고령자
  • 암, 당뇨, 신장질환을 동반하는 면역저하자

 

 

증상 및 특징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의 잠복기는 약 6-14일이며 이 기간에는 무증상이라 감염 여부를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후 단계에 따라 다양한 신체 증상이 뒤따릅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초기 증상
감염 후 1-5일
전신 증상 38-40도의 고열
오한
관절통 / 근육통
피로 / 무기력
어지러움 / 두통
위장관 증상 구역 / 구토
식욕부진
설사 / 혈변
복통
복부 팽만 / 소화불량
피부 및 점막 증상 결막 충혈
피부 발진
림프절 비대

 

중증 단계
감염 5일 이후
출혈 증상 혈소판 감소
(<100,000/mm3)
백혈구 감소
(<4,000/mm3)
붉은 점 형태 점상 출혈
코피
잇몸 출혈
혈뇨 / 혈변
과다 월경
신경계 증상 졸음
혼수 / 경련
의식 저하
운동 장애 
사지 감각 이상
심혈관 및 호흡기 증상 저혈압
빈맥(심박수 증가)
호흡 곤란 / 숨 가쁨
폐렴
폐부종

 

위중 단계
감염 7-10일 이후
간 기능 이상 간 수치 상승
(AST / ALT 증가)
황달
신부전 증상 소변량 감소 / 무뇨
크레아티닌 상승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전신 혈전
전신 출혈
* 심한 경우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 가능
* 한국에서의 SFTS 치명률은 10-30%

 

 

치료 방법 및 예후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에 대한 항바이러스 치료제는 현재까지 없기 때문에 모든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생명을 유지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자세한 치료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대증 치료 / 지지 요법(Supportive therapy)

  • 발열이 생긴경우 타이레놀 등의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을 복용합니다. 이부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는 혈소판 기능을 저하시켜 출혈 위험이 높아지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 고열, 구토, 설사 등에 의한 탈수 방지를 위해 정맥 수액을 공급합니다.
  • 칼륨, 나트륨 등의 전해질이 불균형해지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 출혈 소견이 있거나 혈소판이 감소한 경우 혈소판 농축액을 투여합니다.
  • 빈혈이 동반된다면 적혈구 농축액이 쓰입니다.
  • 응고장애가 나타나는 경우 신선동결혈장(FFP)이 필요합니다.
  • 면역저하 상태에서 이차 세균감염이 발생한다면 광범위 항생제 사용이 고려됩니다.
  • 다발성 장기부전이 나타나는 중환자의 경우 인공호흡기, 투석(CRRT), 승압제(vasopressors)가 쓰입니다.

 

 

  실험적 항바이러스제(Experimental Antivirals)

리바비린(Ribavirin)
RNA 바이러스에서 쓰이는 약제로 동물에게는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사람에 대한 임상적 효과는 불확실하며 간 독성, 용혈성 빈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파비피라비르(Favipiravir)
일본에서 승인된 RNA 바이러스 치료제로 바이러스혈증이 감소된 일부 사례가 있으나 임상 사용은 제한적입니다.  현재 임상시험 단계로 쓰이고 있습니다.

 

 

  회복과정 (Recovery)


약 2-3주 내 자연 회복
고열, 혈소판 감소 증상이 있었으나 장기 기능이 보존된 경우
완치 이후에도 우울감, 피로, 근육통 등의 후유증 발생 가능

회복까지 수주-수개월 소요
장기부전 동반으로 회복 후에도 간기능 장애, 신장 기능 저하, 체력 저하 등이 지속 가능
면역기능 및 영양상태 저하, 외상후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후유증 고려 필요

 

 

  치명률 / 치사율(Fatality rate)

  치명률 특징
전체 평균 10-30% 국내 평균 사망률
고령자
(70세 이상)
50% 이상 연령 증가에 따른 위험 급등
다발성 장기부전
동반 시(MOF)
50-70% 장기 손상 및 면역 기능 저하
파종성 혈관내 응고
발생 시 (DIC)
응고장애로 인한 출혈 및 쇼크

  

 


글을 마치며

 

  SFTS는 초기 단계에서 감기와 비슷하여 빠른 진단이 어렵지만 진행될수록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이기에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 현재까지 치료제와 백신이 없으므로 예방이 중요하며 발견 시 적극적인 치료로 회복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의 몸과 마음이 모두 평안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2025.02.05 - [몸 감기] - [메타뉴모바이러스] 노약자는 주의해야 하는 HMPV 감염 - 정의 전파 경로 원인 잠복기 진단 증상 고위험군 특징 치료 약 회복 방법

 

[메타뉴모바이러스] 노약자는 주의해야 하는 HMPV 감염 - 정의 전파 경로 원인 잠복기 진단 증상

코로나, 독감과는 또 다른 바이러스로 계절성 유행을 일으키는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Human Metapneumovirus, hMP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메타뉴모바이러스 정의와 전파경로진단 및 증상 특징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

2025.03.05 - [몸 감기] - [RSV 감염증] 영유아 폐렴, 모세 기관지염의 주요 원인 -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정의 고위험군 전파 경로 잠복기 증상 특징 합병증 치료 약 회복 예방 백신 접종 방법

 

[RSV 감염증] 영유아 폐렴, 모세 기관지염의 주요 원인 -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정의 고위험군

영유아와 고령자에게 치명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RSV 정의와 고위험군전파경로와 잠복기 및 증상 특징치료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