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감기

[크론병] 잘못 먹은 것도 없는데 계속 설사를 해요. - 정의 원인 증상 자가 진단 테스트 군대 면제 치료 음식 극복 방법

by CHRISY 2024. 6. 4.

크론병

 

  만성적인 복통과 설사에 시달리는 분이 계신가요? 완치가 어렵고 주기적으로 증상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는 크론병(Crohn's Disease, C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크론병 정의와 원인
증상 및 진단
치료 및 극복 방법

 

크론병 정의와 원인

  크론병이란 입에서 항문에 이르기까지 소화관의 여러 부위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IBD)입니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과 함께 희귀 난치질환으로 분류되어 명확한 진단을 받을 경우 군대 면제로 이어질 만큼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꾸준한 치료와 관리가 요구됩니다.

 

  크론병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할 수 있습니다.

  • 가족력이 있을 경우 유전적으로 취약합니다. 특히 NOD2 / CARD14 유전자 변이는 장내 면역반응과 관련이 깊습니다.
  • 면역체계의 과민면역반응으로 인해 장벽 염증이 발생하고 지속적인 손상을 일으킵니다.
  • 장내 미생물 불균형으로 특정 박테리아가 과도하게 증식하거나 유익균이 파괴될 경우 염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흡연은 크론병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입니다.
  • 고지방, 고당분의 서구화된 식습관은 염증성 장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극심한 스트레스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증상 및 진단

  크론병을 자가진단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소 4주 이상 설사가 이어졌다.
  • 최근 체중이 급격히 감소했다.
  • 피로감이 지속된다.
  • 꾸준한 복통이나 복부경련을 느낀다.
  • 구강 염증 혹은 궤양이 자주 생긴다.
  • 항문 부근에서 통증이나 배농이 발생한다.

 

  크론병의 증상과 그에 따른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설사 증상이 지속됩니다. 묽은 변이 하루에도 여러 번 배출될 수 있으며 심각한 염증이나 궤양이 있을 경우 혈액이 섞인 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염증이 발생한 소화기관 부근에서 통증을 느낍니다. 대부분 오른쪽 하복부에서 경련성 복통을 경험합니다. 이는 식사 직후 악화되지만 배변 후에는 조금 나아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 지속적인 설사와 식욕부진으로 인해 영양분 흡수가 어려워지고 이는 체중감소로 이어집니다.
  • 빈혈, 염증반응, 영양소 부족은 만성피로를 불러일으키고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됩니다.
  • 입 안에 궤양이 발생해 통증을 느낍니다. 구형 혹은 타원형 염증으로 흔히 구내염이라 불리는 아프타성 궤양과 유사한 모습을 띕니다.
  • 항문 주변의 농양 또는 치루 등으로 인해 통증, 고름 배출, 부종이 발생합니다.
  • 염증이 심할 경우 발열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붉은 반점이나 종기 형태의 피부 발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무릎, 손목, 골반 등에서 관절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염증에 의해 눈이 충혈되거나 통증이 동반되고 공막염, 홍채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크론병은 몇 가지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혈액검사를 통해 C-반응성 단백질(CRP), 적혈구 침강속도(ESR), 백혈구 수치, 빈혈을 야기하는 영양소 결핍 상태를 파악합니다.
  • 분변잠혈반응검사로 대변 내에 혈액이 섞여있는지 확인하고, 대변배양검사를 통해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감염성 원인을 분석합니다.
  • 대장내시경으로 소장 하단과 대장의 궤양, 염증, 협착 유무를 파악하고 필요할 경우 조직을 채취하여 생검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 CT 스캔으로 복부와 골반 내부의 농양, 염증, 장벽두께를 확인하고 MRI 촬영으로 장의 상태를 면밀히 살펴 누공 또는 협착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바륨 용액을 마신 뒤 엑스레이로 소장을 관찰하여 염증이나 협착 부위를 확인합니다.

 

치료 및 극복 방법

  크론병으로 인한 염증을 줄이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치료가 우선됩니다.

  • 항염증제는 급성 염증을 억제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와 경증에서 중등도 크론병 환자의 장내 염증을 줄이는 데 사용되는 메살라민(5-ASA)이 있습니다.
  • 항생제는 장내 박테리아 불균형을 완화하며 구체적으로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과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zacin)이 있습니다.
  • 면역억제제는 장기적으로 면역 체계를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하지만 간기능장애, 감염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AZA), 6-메르캅토퓨린(6-MP) 등이 있습니다.
  • 생물학적 제제로는 염증 유발 단백질인 TNF-a를 차단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TNF-a 억제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인터루킨 단백질을 억제하는 인터루킨(IL) 억제제, 백혈구가 염증부위로 이동하는 과정을 차단하는 인테그린(Integrin)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과반 이상의 크론병 환자는 한번 이상의 수술을 경험합니다. 약물치료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합병증이 발생했을 때 고려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협착이나 농양등의 치료를 위해 염증이 심한 장 일부를 절제하는 장절제술, 비정상적인 통로를 제거하거나 막는 누공 수술, 염증으로 생성된 고름을 내보내는 농약배액 등이 있습니다.

 

  크론병에 도움 되는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달걀, 생선, 닭고기, 두부 등의 저지방 단백질
  • 백미, 흰 빵 등의 저섬유질 음식
  • 요거트 등 프로바이오틱스가 풍부한 식품
  • 아몬드 우유, 두유 등의 대체 유제품
  • 익히거나 찐 야채와 과일
  • 철분, 비타민 B12, 비타민 D가 다량 함유된 식품

 

 

글을 마치며

 

   크론병은 과민성대장증후군, 감염성 장염, 궤양성 대장염 등 기타 장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파악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 받고 있는 치료와 복용 중인 약물만으로 불편한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추가 검사와 진료를 통해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이 이루어지길 응원합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의 몸과 마음이 모두 평안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2024.04.20 - [몸 감기] - [과민성대장증후군] 변비와 설사가 오락가락, 자주 배가 아파요. - 자극성 장증후군 원인 종류 증상 자가진단 테스트 치료 관리 방법

 

[과민성대장증후군] 변비와 설사가 오락가락, 자주 배가 아파요. - 자극성 장증후군 원인 종류 증

어딜 가나 화장실 위치부터 확인하고, 장거리를 이동할 때면 길이 막힐까 노심초사하며 음식 먹는 것도 신경 쓰이는 분이 계신가요? 삶의 질을 떨어트리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

2024.06.03 - [몸 감기] - [대장염] 복통과 혈변이 반복돼요. - 궤양성 감염성 허혈성 알레르기성 방사선 결장염 크론병 정의 원인 증상 주요 특징 치료 음식

 

[대장염] 복통과 혈변이 반복돼요. - 궤양성 감염성 허혈성 알레르기성 방사선 결장염 크론병 정

자주 배가 아프고, 설사나 피가 섞인 대변을 봐서 걱정인 분 계신가요? 재발이 쉽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대장염(Coliti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대장염 정의와 원인증상 및 주요

wealthy-healthy-happy.tistory.com